글쓰기법

시(詩) 입문에 대하여

이관형 2011. 7. 6. 22:59

시(詩) 입문자를 위한 도움 글-

시를 쓰는 세 단계 - 이형기 님의 시창작법 참고

영국의 시인이자 시론가인 루이스가 쓴 <젊은이를 위한 시>라는 책을 참고하여
이 형기님은 시를 쓰는 단계를 다음과 같이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.

첫 번째는 "시의 종자"를 얻는 단계이고,
두 번째는 이 종자가 시인 정신 내부에 성장하는 단계이고.
세 번째는 하나하나 언어를 골라 거기에 구체적인 표현을 부여하는 단계 이다.

한 단계씩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개개인들의 시 쓰는 방법을 연구해 보자.

1. 첫 번째는 "시의 종자"를 얻는 단계
"아, 이거 시가 되겠다" 싶은 인상적인 느낌이 드는 것이 있으면
시의 종자가 될 수 있다. 이 종자는 반드시 노트에 적어야 한다.
그 종자를 당장 한 편의 시로 만들려고 서두를 것은 없다.
시를 쓰려고 서두르면 상상력이 종자 자체에만 얽매어 표현이 단조롭고 내용이 빈약한 시가 되기 때문이다.
그런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조급증을 부리지 말고 지긋하게 기다릴 줄 아는 힘 을 기를 필요가 있다.
경우에 따라서는 시의 종자를 붙든 순간에 펜을 들어 단숨에 한 편의 시를 써낼 수도 있는 것이다.
그러나 그것은 실패율이 높고 성실성도 문제 되는 방법이기 때문에
부득이한 경우가 아닌 한 그렇게는 시를 쓰지 말아야 한다.
또 시의 종자를 노트에 적는 것이 중요한데 시의 종자를 노트에 적지 않으면
완전 히 까먹어 종자가 싹터서 자랄 수 없는 멸실(滅失) 상태가 된다.
그러므로 노트에 꼭 적어 두어야 한다.
노트가 곧 시의 종자의 생명력을 보증하는 비망록이라고 볼 수 있다.

2. 두 번째는 종자의 성장과 시적 사고를 하는 단계
종자 얻기 과정을 거치면 다음에는 그 종자가 시인의 정신 내부에서 성장하는 단 계에 접어들게 된다.
종자의 성장은 며칠 동안 속성(速成)으로 자랄 수도 있고,
몇 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.
이처럼 성장이 느리다면 수 년 동안 시를 몇 편 쓰지 못 할 것이 아닌가 하고
의문을 갖지만 우리 속에 자라는 시의 종자가 하나일 수 없다.
여러 개의 종자가 동시에 자랄 수 있다는 것이다.
그렇다고 시의 종자가 혼자 힘으로 소망스럽게 쑥쑥 자란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.
제대로 싹틔우고 자라게 하려면 정성어린 노력이 필요하다.
전 날 쓴 노트를 펼쳐 그 종자를 보며 거기에 자신의 상상력을 가미하게 되면
성장과 발전의 단계에 접어 들게 되는 것이다.
서정주 님은 <국화 옆에서>라는 시를 쓰고 나서 이런 말씀을 그의 자서전에 남겼다.
"내가 어느 해 새로 이해한 이 정밀한 40대 여인의 미의 영상은
꽤 오랫동안 -아마 2-3년 동안 그 표현을 찾지 못한 채
내 속에 잠재해 있었다가 1947년 가을 어느 해 어스름 때 문득
내 눈이 내 정원의 한 그루의 국화꽃에 머물게 되자 그 형상화 공작이
내 속에서 비로소 시작되었던 것입니다."

-서정주, <시작 과정>에서 -

그러니까 그 종자의 획득은 2-3년 동안 지속적으로 그런 이미지를 떠오를 수 있게끔
시적 사고를 거듭하면서 준비를 해온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.

3. 세 번째는 구체적인 언어 표현 찾기 단계
이 단계에 이르면 시를 쓰고 싶다는 강렬한 욕구를 느끼게 된다.
시를 쓰려고 할 때는 가장 적합한 표현의 언어를 찾기 위해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.
정신을 집중해도 척척 풀리지 않을 때,
시인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한다. 이를테면 뜰을 거닐거나,
목욕을 하거나, 음악을 듣거나, 커피를 마시거나, 아니면 침대에 누워 명상에 잠긴다.
<국화 옆에서>를 쓴 서정주 님의 말을 빌리자면 몇 시간 누었다, 앉았다 하며
비교적 쉽게 1-2연을 썼고,
마지막 연은 좀처럼 생각이 안 나서 잠 자버리고 며칠 동안 그대로 묵혀두었다가 완성했다고 한다.
서정주 님도 해산의 고통을 겪으며 <국화 옆에서>를 완성했는데
하물며 시의 초심자의 경우는 어떤 자세로 시를 써야겠는가?
그러나 고통이 아무리 크다해도 작업의 결과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것이 되면 그로써 고통은 절로 보상된다.
마지막 단계에 하나 더 붙인다면 퇴고(推敲)이다.
초고를 1주일 정도 설합에 넣어 두었다 꺼내면 자신의 시라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.
그 때 초고(草稿)를 다시 검토하면 완성된 작품을 쓸 수 있는 것이다.

'글쓰기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아름다운 순수 우리말  (0) 2011.08.06
바보  (0) 2011.07.27
바람에 대한 순 우리말  (0) 2011.07.02
시 창작 원리 / 양명호  (0) 2011.02.20
詩의 요소  (0) 2011.02.15